HOME

『스토리코스모스 소설선_002』 웹북 단행본 출간

  • 2025-06-22
List
  • 첨부파일


 

 

저자 : 최이아 / 조재민 / 장성욱 / 임재훈 / 이아타 / 이시경 / 방성식 / 박은비 / 도재경 / 김 솔 / 김덕희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문학의 지평을 드넓힌 한국소설, 어디까지 진화했는가.

스토리코스모스가 만들어가는 두 번째  21세기 소설 라이브러리.

소설문학의 최전선에서 펼쳐지는 한국소설의 진화를 경험해보세요.​

 

 

책소개

 

『스토리코스모스 소설선002 : 21세기 소설 라이브러리』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이다. 장르소설과 순수소설의 경계를 해체하고 오직 문학성을 중심으로 소설을 발굴하는 스토리코스모스 플랫폼에서 발굴한 소설 11편을 한자리에 모았다. 장르형 소설이 6편, 사실주의 계열이 5편이다. 이와 같은 소설선을 기획하게 된 애초의 의도가 한국 소설문학의 지형도에서 장르문학과 본격문학의 경계가 더 이상 무의미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는데 이 두 번째 소설선에서 그것은 분명한 사실로 입증되고 있다.

 

장르와 본격의 경계가 무의미해졌다는 말은 장르적 기법을 차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문학성을 넉넉하게 확보한 빼어난 작품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장르이건 본격이건 문학성이 문학의 생명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이것은 소설영역에서 일어나는 중차대한 21세기적 융합 현상이라고 보여진다. 분명한 장르적 갈래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 다종다양한 융합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SF적 기법이건, 추리적 기법이건, 판타지적 기법이건, 사실주의적 기법이건, 21세기 소설에서 가장 중시되는 건 누가 뭐래도 낯선 개성과 스타일이다. 이전과의 과감한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많은 작가가 장르적 기법을 차용하는 게 시대적 필연이라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지점이다. 아무튼 이와 같은 소설 지형도의 실시간적 변화는 독자와의 소통을 통해 또 다른 가능성으로 개진될 것이므로 많은 기대를 품게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스토리코스모스 소설선은 지금, 이곳, 한국소설에서 일어나고 있는 실시간적 변화와 다채로운 지형도를 읽게 만드는 책이다.

 

 

목차

 

당신도 조심하시오│최이아 08

X에서 늙어 죽은 최초의 인간에 관한 보고서│조재민 37

티셔츠│장성욱 65

공동│임재훈 93

인디고블루 청바지로부터│이아타 117

나는 그것의 꼬리를 보았다│이시경 147

셸터│방성식 181

창(槍)│박은비 205

그가 나무인형이라는 진실에 대하여│도재경 233

고독한 순환을 즐기는 검은 유체 │김 솔 255

디에스 이라이│김덕희 293

 

리뷰│리뷰어 327

파동과 공명│새로운 융합형 소설들의 가능성 │박상우 341

 

 

출판사 서평

 

2023년에 『전두엽 브레이커』로 스토리코스모스 소설선001을 처음 선보인 이후 지난 일 년 동안 스토리코스모스에서 발굴한 작품들을 선별해 두 번째 소설선을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총 11편을 선별하고 보니 장르형 소설이 6편, 사실주의 계열이 5편이다. 이와 같은 소설선을 기획하게 된 애초의 의도가 한국 소설문학의 지형도에서 장르문학과 본격문학의 경계가 더 이상 무의미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는데 이 두 번째 소설선에서 그것은 분명한 사실로 입증되고 있다. 

 

장르와 본격의 경계가 무의미해졌다는 말은 장르적 기법을 차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문학성을 넉넉하게 확보한 빼어난 작품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장르이건 본격이건 문학성이 문학의 생명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이것은 소설영역에서 일어나는 중차대한 21세기적 융합 현상이라고 보여진다. 분명한 장르적 갈래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 다종다양한 융합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11편을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당신도 조심하시오」

「X에서 늙어 죽은 최초의 인간에 관한 보고서」

「티셔츠」

「나는 그것의 꼬리를 보았다」

「셸터」

「창」

 

「공동」

「인디고블루 청바지로부터」

「그가 나무인형이라는 진실에 대하여」

「고독한 순환을 즐기는 검은 유체」

「디에스 이라이」

 

위에 제시한 6편이 장르적 기법을 차용한 소설이고 아래 다섯 편이 사실주의 계열의 소설이다. 책을 읽어보면 소설의 내용상 이와 같은 분류를 하는 게 아무 의미가 없다는 걸 알게 될 것이다. 소설이 한 편의 이야기라고 전제할 때 그 궁극의 목표는 독자와의 소통에 있다. 문제의 핵심은 소통이고, 소통을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장르적 기법이 작가들에게 널리 활용되는 것도 그와 같은 맥락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위에 올린 6편의 소설을 읽어보면 작가들이 자기 소설의 전달 방식을 극대화하기 위해 장르적 기법을 얼마나 치열하게 활용하는지를 분명하게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한 편의 단편소설에서 다장르적 수용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당신도 조심하시오」, 미래지향성 없는 현실세계의 타개책으로 만들어진 일론 머스크의 ‘메타버스 X’가 지닌 디스토피아적 세계성을 다룬 「X에서 늙어 죽은 최초의 인간에 관한 보고서」, 인과성을 제시하지 않고도 깊고 아픈 여운을 남기는 「티셔츠」, 외래품으로서의 판타지가 아니라 순수한 한국적 판타지의 가능성을 열어보이는 「나는 그것의 꼬리를 보았다」, 호러의 클리셰를 역으로 낯설게 변주하는 「셸터」, 판타지를 너무나도 사실적인 기법으로 펼쳐 보여 소름 돋게 하는 「창」 같은 소설들의 장르 기법 차용은 다른 관점으로 보자면 현실을 소설화하는 사실주의 소설기법의 진화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사실주의 영역의 소설이라고 볼 수 있는 나머지 다섯 편의 소설들도 모두 저마다의 개성을 통해 분명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데 그 소설들의 경향성도 이전의 사실주의 계열 소설들과는 사뭇 분위기가 다르다. 마술적 사실주의를 연상시키는 「공동」이나 사소한 일상성을 경쾌한 표현주의 기법으로 낯설게 만드는 「인디고블루 청바지로부터」, 장르와 사실주의의 경계에 걸친 「그가 나무인형이라는 진실에 대하여」, 21세기적 변사소설의 한 유형을 새로운 장르처럼 심화시킨 「고독한 순환을 즐기는 검은 유체」, 장르 자체를 제재로 삼는 「디에스 이라이」가 그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SF적 기법이건, 추리적 기법이건, 판타지적 기법이건, 사실주의적 기법이건, 21세기 소설에서 가장 중시되는 건 누가 뭐래도 낯선 개성과 스타일이다. 이전과의 과감한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많은 작가가 장르적 기법을 차용하는 게 시대적 필연이라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지점이다. 아무튼 이와 같은 소설 지형도의 실시간적 변화는 독자와의 소통을 통해 또 다른 가능성으로 개진될 것이므로 많은 기대를 품게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스토리코스모스 소설선은 지금, 이곳, 한국소설에서 일어나고 있는 실시간적 변화와 다채로운 지형도를 읽게 만드는 책이다.  

 

 

저자 소개

 

 

기자의 눈과 활동가의 심장을 가진 화학 전공자. 8년간 기자로 일했다. 사회에 만연한 부조리와 혐오를 지켜볼 수밖에 없어 고민하다 언론사를 그만두고 비정규직 문제에 직접 뛰어들기로 결심했다. 활동가로 일하다 만난 다양한 사람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여기에 과학적 상상력을 더해 소설을 쓰고 있다.
2023년 제6회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 부문에서 「제니의 역」으로 우수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 시작. 소설집 『이윽고 언어가 사라졌다』, 웹북 『랩에서 생긴 일』 『당신도 조심하시오』 『푸리앙』 『현실은 복제되지 않는다』 출간. 단편 「비가 그칠 때까지」로 손바닥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2023-4 스토리코스모스 신인소설상 당선. 웹북 『짐』 『X에서 늙어 죽은 최초의 인간에 관한 보고서』 출간.
201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 소설집 『화해의 몸짓』, 웹북 『티셔츠』, 『야마다 유우코의 마지막 어덜트 비디오』, 『피망록』 출간.
2023-4 스토리코스모스 신인소설상 당선
웹북 『공동』 『주변인으로서의 작가』 출간
계간 『작가세계』 신인상으로 등단하여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심훈문학상, 현진건문학상 우수상, 신라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한국종합예술학교 영상원 전문사 과정을 졸업했다. 영화와 드라마를 공부했고 서사의 시프트에 관심 가지고 있다. 작품집으로 『사월에 내리는 눈』『월요일의 게이트볼』이 있고 브런치북에 『청바지와 사랑』을 게재했다. 경기문화재단과 서울문화재단 그리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기금을 수혜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신진 스토리작가 공모전 당선돼 출간한 『베이츠』는 미래 식량과 유전공학을 테마로 한 작품이다. 식량 전쟁 직후인 2048년, 전 세계인을 굶주림으로부터 해방시킨 슈퍼 옥수수, ‘알파콘’을 재배하기 위해 떠난 후 사라진 동생, 그리고 동생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형의 모험을 스펙터클하게 그려냈다.맹렬한 과학기술의 발전이 도달할 수 있는 상상력의 총체를 보여준다.
2023-1 스토리코스모스 신인소설상 당선
웹북 『데스밸리 판타지』 『나는 그것의 꼬리를 보았다』 『푸에고 로사』 『색채 그루밍의 세뇌 효과에 대하여』 『데니의 얼음동굴』 출간
2023-1 스토리코스모스 신인소설상 당선
여행 에세이 『냉정한 여행』, 장르소설집 『남친을 화분에 담는 방법』 출간
웹북 『현관이 사라진 방』 『채찍들의 축제』 『이별의 미래』 『만년필에 대하여』 출간
경남 양산에서 태어나 창원에서 유년시절을 보냈고 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졸업 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가 소설가가 되었다. 2020년 제2회 장수문학상에서 「호상(好喪)」으로 본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2024-1 스토리코스모스 신인소설상 당선. 웹북 ??『창(槍)』 『동제(洞祭)』 출간.
2018년 세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 시작. 2020년 소설집 『별 게 아니라고 말해줘요』 웹북 『방독면을 쓴 바나나』 『그가 나무인형이라는 진실에 대하여』 출간. 심훈문학상, 허균문학작가상 수상.
1973년 광주에서 태어나 2012년 『한국일보』로 등단했다. 소설집 『암스테르담 가라지세일 두번째』 『망상,어語』 『살아남은 자들이 경험하는 방식』 『유럽식 독서법』 『당장 사랑을 멈춰주세요, 제발』 『말하지 않는 책』, 장편소설 『너도밤나무 바이러스』 『보편적 정신』 『마카로니 프로젝트 』 『모든 곳에 존재하는 로마니의 황제 퀴에크』 『부다페스트 이야기』 『사랑의 위대한 승리일 뿐』 등이 있으며, 〈문지문학상〉 〈김준성문학상〉 〈젊은작가상〉을 수상했다.
1979년 경북 포항 출생. 2013년에 단편소설 「전복」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 시작. 소설집 『급소』 『사이드 미러』, 장편소설 『캐스팅』, 웹북 『고문헌연구회』 『절벽의 노래』 『초대의 매너』 『디에스 이라이』 출간. 한무숙문학상 수상.

 

이전글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2025-2 스토리코스모스 신인소설상 당선작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