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월, 해발 1,330m의 백두대간 만항재에서 나는 쿄쿄를 처음 접했다. 내 왼쪽 어깨 쪽으로 접속해 쿄쿄, 쿄쿄, 하던 순간이 지금도 생생하다. 쿄쿄와 접속하기 전까지 나는 세상에서 ‘스토리코스모스’라는 어휘를 접해 본 적이 없었다. 어느 해 가을, 모 대학 교수실과 강의실 사이의 복도를 걸어가던 도중 ‘스토리코스모스’라는 어휘가 강렬한 에너지와 함께 다운로드 되었다. 하지만 그것의 전모를 해독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그것은 그때까지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였기 때문이다.
다차원과 평행우주적 구성이 차용되어 있지만 나는 이 소설을 SF라고 생각한 적이 없다. 쿄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이 철저하게 지금, 여기, 우리가 몸담고 살아가는 3차원 매트릭스의 전모를 일깨우기 위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와 같은 전모를 내가 알고 썼을 리 없다.
이 소설의 영감은 주로 새벽 4시경부터 시작되는 명상과 그것이 끝난 이후에 시작되는 등산 과정 중에 다운로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다운로드가 시작되면 그것이 어떤 상황이건 나는 동작을 멈추고 집중적으로 그것을 스마트폰 메모장에 받아적었다. 새벽에 등산하다 걸음을 멈추고 한 시간 이상 받아적기를 한 적도 여러 번 있었다. 내 주변에 그 메모장을 본 사람들이 적잖았는데 몇백 개인지 몇천 개인지 개수를 헤아릴 수 없었다. 그것을 다시 노트북으로 옮기고 소설에 대입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그 과정에 나의 작가적 욕망이 스며들어 원본이 오염되는 경우가 적잖았다. 그래서 수많은 오류 수정의 과정이 발생하고, 심지어 책의 전모가 수정을 요구당하는 아픈 세월이 바쳐지기도 했다.
2016년 거의 10년 가까운 기간에 걸쳐 나의 받아쓰기는 완성되었다. 적어도 그때는 그것이 최선이라는 망상에 빠져 망설임 없이 책을 출간했다. 하지만 책을 출간하고 한 달쯤 지난 뒤 나는 치명적인 실수를 범했다는 걸 자각하고 죽고 싶은 심정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그리고 출판권 계약기간 5년이 만료될 때까지 어느 하루도 마음 편히 보내지 못했다. 내가 쓴 것처럼 위장한 그 소설로 인해 나는 용서받기 힘든 고통의 시간을 보내게 된 것이었다.
5년이 지난 2021년 6월 나는 출판사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나의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하고 출판권을 돌려달라고 말했다. 다행스럽게도 대표를 위시한 관계자들이 작가의 심정을 넉넉히 이해해 출판권 일체를 돌려주었다. 그리고 다시 3년이 지나는 동안 나는 이 작품을 수도 없이 수정하고 출간 시기가 주어지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첫 출간이 나의 무지한 작가적 욕망 때문에 참담하게 실패했다는 걸 시인하고 있었기 때문에 책의 운명을 존중하지 않을 수 없었다.
2024년, 『비밀문장: 지구행성 게스트하우스 손님용 보급판』이 드디어 스토리코스모스에서 출간되었다. 2005년부터 시작된 기이한 가이드와 훈련을 거쳐 드디어 이 작품은 완성되었다. 그리고 이 소설 때문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게 된 스토리코스모스 플랫폼에 이 작품이 자리 잡게 되는 기이한 신비도 경험하게 되었다. 이 소설을 읽게 되면 지구상에 없던 단어 ‘스토리코스모스’가 세상에 나타나게 된 과정과 그것의 의미에 얽힌 우주적 배경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물론 그것은 내가 만들어낸 가상의 언어가 아니고 의미 또한 아니다. 요컨대 이 소설은 내가 쓴 게 아니다. 아니 내가 썼다고 말할 수 없는 소설이다.
지금 이 순간, 당신은 이 소설을 ‘스토리코스모스’에서 읽고 있다.
나는 쿄쿄에게 전수받은 스토리코스모스에 관한 메시지를 3차원 세계에 적용하려 하고 있었다. 원천으로부터 시작된 모든 것이 스토리코스모스인 줄 모르고, 스토리 구조로 설계된 3차원 세계의 전모를 모르고, 자신의 존재가 스토리인 줄 모르고, 자기 인생이 스토리인 줄 모르고, 꼬이고 꼬이는 온갖 인생의 수난이 스토리 문제인 줄 모른 채 평생을 살다 죽는 지구인들이 너무 안타까워 나는 구체적인 뭔가를 도모하고 있었다.
지구인이 자기 존재를 스토리로 자각하고, 자기 인생을 스토리로 자각하고, 우주의 모든 운행을 스토리로 자각하는 그날이 올 때까지 나는 인터넷상에 닷컴(.COM)을 만들 계획을 진행하고 있었다. 1인 미디어인 블로그가 아니고 닷컴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기이하지만, 나의 발상이 아니라 처음부터 그렇게 하도록 몰고가는 에너지가 있었다. 그 에너지의 배후를 나는 쿄쿄로 의심했다. 하지만 신대리 앞에서는 쿄쿄의 존재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그래서 ‘스토리코스모스닷컴’은 전적으로 나의 아이디어인 것처럼 그녀에게 전달되었다.
“지금 내 기분이 어떤지 알아요? 뭔가 알 수 없는 다른 차원에서 온 존재하고 대화를 나누는 것 같아요. 어떻게 그렇게 멋진 발상을 하고 그것을 또 지구인들에게 적용할 생각을 할 수 있는 거죠?”
나는 신다경 대리에게 ‘스토리코스모스닷컴’의 사이트 제작을 정식으로 의뢰했다. 그녀는 나의 취지에 공감하고 적극 협조를 약속했다. 그녀는 사이트 제작부터 호스팅 업체 선정, 도메인 구매와 등록까지 자신이 일체를 진행하겠다고 했다.
나는 정말 고맙다는 말과 함께 건배를 제안했다. 그러자 사는 게 재미없어 우울했는데 이렇게 의욕을 가지고 집중할 만한 일을 만들어 주어 자신이 오히려 고맙다고 했다. 곧이어 그녀는 펜을 꺼내 냅킨 위에다 ‘www.storycosmos.com’을 쓴 뒤에 그것이 등록된 도메인인지 스마트폰으로 검색했다. 그런 뒤 비로소 안도한 표정으로 아호, 짧은 탄성을 터뜨리며 환하게 웃었다.
“이렇게 멋진 도메인이 아직 지구상에 없다는 게 정말 신기하네요. 오늘 밤 집에 가면 당장 도메인 등록부터 해야겠어요. 스토리코스모스닷컴을 위해, 건배!”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에 중편소설 「스러지지 않는 빛」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1999년 중편소설 「내 마음의 옥탑방」으로 제23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했고, 2009년 소설집 『인형의 마을』로 제12회 동리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19년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으로 제12회 이병주 국제문학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사탄의 마을에 내리는 비』 『사랑보다 낯선』 『인형의 마을』 『호텔 캘리포니아』 『내 마음의 옥탑방』 『가시면류관 초상』 『운명게임』『비밀문장: 지구행성 게스트하우스 손님용 보급판』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내 영혼은 길 위에 있다』 『반짝이는 것은 모두 혼자다』 『혼자일 때 그곳에 간다』 『소설가』 『검색어 : 삶의 의미』 등이 있다.
1. 토후 브 보후 미스터리 2. 영혼이 없는 사람 3. 쿄쿄가 보낸 첫 번째 메시지 4. 스토리코스모스에서 온 스토리텔러 5. 정확하게, 가감 없이, 냉정하게 6. 아카샤, 우주의 스토리 저장소 7. 저주 받은 성 정체성 8. 스토리코스모스닷컴 9. 작가가 되는 것, 소설을 쓰는 것 10. 지구는 영적 포로수용소 11. 내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자각 12. 스토리코스모스로 가는 길 13. 판타 레이, 스토리코스모스 14. 부록: 비밀 문장
총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