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이한슬
2019 세계일보 신춘문예 당선
the3rdoldman@gmail.com
김덕희
2013년에 단편소설 「전복」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급소』, 『사이드 미러』, 장편소설 『캐스팅』이 있으며 제23회 한무숙문학상을 받았다.
thekey-9@hanmail.net
강현국
1949년 경북 상주 출생. 1976년 『현대문학』 시인 등단. 1988년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1983년-2017년: 대구교육대학교 교수 및 총장. 1992년-현재 시 전문 계간문예지 『시와반시』 발행인 겸 주간. 2011년-현재 비영리 사단법인 녹색문화컨텐츠개발연구원 이사장. 시론집 『내 손발의 품삯이 얼마나 송구스럽던지』 외, 시집 『구병산 저 너머』 외, 산문집 『고요의 남쪽』 외
khguk92@hanmail.net
신형주
계간 『시에』로 등단
시집 『젬피』
hjs9318@naver.com
문서정
불교신문 신춘문예 당선
소설집 『눈물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핀셋과 물고기』
백신애문학상 수상
허향숙
충남 당진 출생 2018년 『시작』으로 작품 활동 시작 現 백강문학회 회장
1129gidtnr@hanmail.net
천수호
200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등단 시집으로는 민음사 『아주 붉은 현기증』, 문학동네 『우울은 허밍』, 문학동네 『수건은 젖고 댄서는 마른다』 현재 명지대 객원교수, 단국대 강사 현재 횡성예버덩문학의집 운영위원 현재 작은서점 청색종이 상주작가
suho63@hanmail.net
강해림
1991년 『민족과 문학』, 『현대시』로 등단
시집 『구름 사원』『환한 폐가』『그냥 한번 불러보는』『슬픈 연대』
대구문학상 수상
kang6877@hanmail.net
허성환
2021년 대구매일 신춘문예 당선
2023년 소설선 『전두엽 브레이커』 (공저)
202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
heosunghwan@naver.com
채신화
2024-2 스토리코스모스 신인소설상 당선
오늘
2006년 『서시』 등단
2020년 제10회 시산맥작품상
2021년 제16회 지리산문학상
시집 『나비야, 나야』 『빨강해』(지리산문학상 수상시집)
저서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 연구』
sonagi005@hanmail.net
조세핀
전남 강진 출생
광주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졸업
2016년 『시와 사람』 신인상 수상
시집 『고양이를 꺼내 줘』
namhee502@hanmail.net
김설원
2002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은빛지렁이」 당선
2009년 여성동아 장편소설 공모 당선
2019년 제12회 창비장편소설상 수상
2024년 제16회 현진건문학상 수상
이성아
1998년 『내일을 여는 작가』에 단편 「미오의 나라」로 작품활동 시작.
장편소설 『밤이여 오라』, 『가마우지는 왜 바다로 갔을까』, 『경성을 쏘다』
소설작품집 『태풍은 어디쯤 오고 있을까요』, 『절정』 등
제주4.3평화문학상, 세계일보문학상 우수상, 이태준문학상 수상.
i-stellah@hanmail.net
서하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경희대 국문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94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으며, 소설집으로 『책 읽어주는 남자』 『라벤더 향기』 『사랑하는 방식은 다 다르다』 『비밀』 『요트』 『착한 가족』이, 장편소설로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나나』가 있다. <한무숙문학상> <김준성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1년 현재 경희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fogi99@hanmail.net